최말짱 블로그

[python] 2605번 줄 세우기 본문

코딩테스트/백준

[python] 2605번 줄 세우기

최말짱 2023. 1. 16. 22:11
728x90

[ 문제 ]

 

[ 문제 설명 ]

줄 세우기

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
1 초 128 MB 10108 6936 5905 69.610%

문제

점심시간이 되면 반 학생 모두가 한 줄로 줄을 서서 급식을 탄다. 그런데 매일 같이 앞자리에 앉은 학생들이 앞에 줄을 서 먼저 점심을 먹고, 뒷자리에 앉은 학생들은 뒤에 줄을 서 늦게 점심을 먹게 된다. 어떻게 하면 이러한 상황을 바꾸어 볼 수 있을까 고민하던 중 선생님이 한 가지 방법을 내 놓았다.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.

학생들이 한 줄로 줄을 선 후, 첫 번째 학생부터 차례로 번호를 뽑는다. 첫 번째로 줄을 선 학생은 무조건 0번 번호를 받아 제일 앞에 줄을 선다. 두 번째로 줄을 선 학생은 0번 또는 1번 둘 중 하나의 번호를 뽑는다. 0번을 뽑으면 그 자리에 그대로 있고, 1번을 뽑으면 바로 앞의 학생 앞으로 가서 줄을 선다. 세 번째로 줄을 선 학생은 0, 1 또는 2 중 하나의 번호를 뽑는다. 그리고 뽑은 번호만큼 앞자리로 가서 줄을 선다. 마지막에 줄을 선 학생까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뽑은 번호만큼 앞으로 가서 줄을 서게 된다. 각자 뽑은 번호는 자신이 처음에 선 순서보다는 작은 수이다.

예를 들어 5명의 학생이 줄을 서고, 첫 번째로 줄을 선 학생부터 다섯 번째로 줄을 선 학생까지 차례로 0, 1, 1, 3, 2번의 번호를 뽑았다고 하자, 첫 번째 학생부터 다섯 번째 학생까지 1부터 5로 표시하면 학생들이 줄을 선 순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.

  • 첫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: 1
  • 두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: 2 1
  • 세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: 2 3 1
  • 네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: 4 2 3 1
  • 다섯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: 4 2 5 3 1

따라서 최종적으로 학생들이 줄을 선 순서는 4, 2, 5, 3, 1이 된다.

줄을 선 학생들이 차례로 뽑은 번호가 주어질 때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줄을 선 순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는 학생의 수가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줄을 선 차례대로 학생들이 뽑은 번호가 주어진다. 학생의 수가 100 이하이고, 학생들이 뽑는 번호는 0 또는 자연수이며 학생들이 뽑은 번호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씩 있다.

출력

학생들이 처음에 줄을 선 순서대로 1번부터 번호를 매길 때, 첫째 줄에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줄을 선 순서를 그 번호로 출력한다. 학생 번호 사이에는 한 칸의 공백을 출력한다.

예제 입력 1 복사

5
0 1 1 3 2

예제 출력 1 복사

4 2 5 3 1
 

 

 

 

[ 풀이 ]

 

import sys

N = int(sys.stdin.readline())
students = 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

result = []

for i in range(N):
    # 뽑은 번호를 기반하여 줄을 세운다.
    result.insert(i-students[i],i+1)

print(*result)

# print(*result)이 다음 코드를 대체
# 정답 출력 end=' '을 통해 붙여서 출력
# for k in result:
#     print(k,end=' ')

 

 

list의 특정 인덱스에 어떤 요소를 삽입할 수 있는 insert()함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

print(*list이름)을 통해 리스트를 요소만 출력할 수 있다.

 

 


 

리스트의 삽입 및 삭제 다루기를 조금 정리해보았다.

 

리스트의 삽입

1.  append

2. insert

 

리스트의 삭제

1. del

2. remove

3. pop

 

1. 리스트 요소 삽입하는 법

1) 리스트의 마지막에 삽입(append)

>>> a = [1, 2, 3]
>>> a.append(4)
>>> a
[1, 2, 3, 4]

2)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에 삽입(insert)

>>> a = [1, 2, 3]
>>> a.insert(0, 4)
>>> a
[4, 1, 2, 3]

 

 

2. 리스트 요소 삭제하는 법

1) del 함수

# 한 가지 요소만 삭제
>>> a = [1, 2, 3]
>>> del a[1]
>>> a
[1, 3]

# 여러 요소 삭제하기
>>> a = [1, 2, 3, 4, 5]
>>> del a[2:]
>>> a
[1, 2]

2) remove 함수

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x를 삭제

-> x가 두 개일 경우 첫 번째 x만 삭제됨.

>>> a = [1, 2, 3, 1, 2, 3]
>>> a.remove(3)
>>> a
[1, 2, 1, 2, 3]

3) pop 함수

pop()은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를 리턴하고 그 요소는 삭제

>>> a = [1,2,3]
>>> a.pop()
3
>>> a
[1, 2]

pop(x)는 리스트의 x번째 요소를 리턴하고 그 요소는 삭제한다.  ⭐️ ⭐️

>>> a = [1,2,3]
>>> a.pop(1)
2
>>> a
[1, 3]

 

 

 

출처

https://wikidocs.net/14

 

02-3 리스트 자료형

`[추천 동영상 강의]` : 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x6W7t0KkTAc]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x6W7t…

wikidocs.net

 

'코딩테스트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ython]1927번 최소 힙  (0) 2023.01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