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Link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- Today
- Total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답지
- HackerRank
- 코딩테스트
- MySQL
- npm install -g yarn 에러
- 컴퓨터 통신
- 딥러닝 역사
- sql
- 딥러닝 개요
- pre-course
- 역전파
- TabNet
- 깃
- gpt-api
- inner join
- 프로그래머스
- map
- 컴퓨터통신
- 프로그래머스 SQL
- gpt-api에러
- yarn 설치 에러
- 행렬
-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
- ERROR: install is not COMMAND nor fully qualified CLASSNAME.
- pandas
- 부스트캠프ai
- 부스트캠프
- python
- 연관분석
- NumPy
Archives
최말짱 블로그
ch03 네트워크 기술 / 연습문제 3장 (내가 직접 푼..) 본문
728x90
- 교환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. (①) 방식은 고정 대역이 할당된 연결을 설정한 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고, (②) 방식은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. ① : 회선 교환, ② : 패킷 교환
- 데이터를 패킷 교환 방식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. (①) 방식은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지만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 가상 연결을 설정하므로 모든 패킷의 전달 경로가 같다. 반면, (②) 방식은 패킷의 경로 선택이 독립적이다. ① : 가상 회선, ② : 데이터그램
- LAN 환경에서 사용하는 버스형 구조에서 둘 이상의 호스트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려고 하면 공유 버스에서 데이터 (①)이 발생할 수 있다. 하지만, 링형 구조에서는 (②) 이라는 제어 프레임을 사용해 (①)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. ① : 충돌, ② : 토큰
- LAN 구성에서는 전송 호스트가 공유 버스를 이용한 브로드캐스팅을 사용하기 때문에 (①)의 개념이 필요 없다. 그러나 (②)으로 연결된 WAN 환경에서는 전송 기능과 더불어 (①)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. ① : 교환, ② : 점대점
- 라우팅 장비는 네트워크 내부에서 패킷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데,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(①)이라 한다. 일반적으로 하위 3개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는 (②)이다. ① : 인터네트워킹, ② : 라우터
- 트랜스페런트 브리지는 초기에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가 비어 있으므로 (①) 알고리즘을 사용해 입력된 프레임을 브리지의 모든 포트 방향으로 전달한다. 물론 프레임이 들어온 방향으로는 전달하지 않는다. ① : 플러딩
- 트랜스페런트 브리지는 동작 과정에서 라우팅 정보를 새로 얻거나 수정할 수 있는데, 이는 (①) 알고리즘으로 가능하다. 이 알고리즘이 올바르게 동작하려면 네트워크가 비순환 구조로 설계되어야 하는데, 이를 위하여 (②) 알고리즘이 사용된다. (③) 브리지 방식은 프레임이 수신 호스트까지 도달하기 위한 라우팅 정보를 송신 호스트가 제공한다. ① : 역방향 학습, ② : 스패닝 트리, ③ : 소스 라우팅
- 자율 시스템은 다수의 라우터로 구성되며, 이들은 공통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해 라우팅 정보를 교환한다. 자율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(①)이라 하고, 자율 시스템들 간에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(②)이라 한다. ① :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(IRP), ② :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(ERP)
- 인터넷 환경에서 서비스 품질 문제를 다루는 (①)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등급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. 대표적인 (①) 매개변수는 연결 설정 지연, 전송률, 전송 지연, 전송 오류율 등이다. ① : QoS
- 교환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. ① 교환 시스템은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하도록 데이터를 중개하는 교환 기능을 제공한다. ②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선 교환 방식은 음성 전화 서비스를 통해 발전했으며, 고정 대역폭의 전송률을 지원한다. ③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교환 방식은 가변 대역의 전송률을 지원하므로 네트워크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다.(→복잡하다.)④ 회선 교환 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전송 경로가 연결 설정 과정에서 고정되므로 라우팅 등의 작업이 쉽다. ⑤ 회선 교환 방식(→패킷 교환 방식)에는 모든 패킷의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들이 각각의 경로로 전송되는 데이터그램 방식이 있다. 답 : ①, ②, ④
- 패킷 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. ① 송신 호스트는 전송할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일정 크기로 나누어 전송하며, 각 패킷은 개별 라우팅 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도착한다. ② 여러 호스트에서 전송한 패킷이 전송 대역을 동적인 방식으로 공유하기 때문에 전송 선로의 이용 효율이 나빠진다는 단점이 있다.(→극대화된다.)③ 개별 연결 요청에 대하여 가변(→고정) 대역 할당되므로 전송 대역이 부족하면 새로운 연결 설정요청을 수용하지 않을 수 있다. ④ 데이터 전송 작업이 패킷 단위로 이루어져 패팃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편하다. ⑤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회선 교환 방식보다 더 많이 지연될 수 있다. 답 : ②, ③
-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. ① 가상 회선 방식은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으로 하나의 연결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의 경로는 동일하다. ② 가상 회선 방식은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으로 하나의 연결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의 경로는 동일하다. ③ 가상 회선 방식은 회선(→패킷) 교환 방식을 기반으로 하므로 데이터의 전송 단위는 패킷과 무관하다.(→무관하지 않다.)④ 데이터그램 방식은 패킷이 전달되기 전에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이 없으므로, 경로를 미리 할당하지 않는다. ⑤ 데이터그램 방식에서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패킷은 보낸 순서와 무관하게 수신 호스트에 전달되므로 도착 순서가 바뀔 수 있다. 답 : ①, ②, ④, ⑤
- 프레임 릴레이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. 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복잡한 오류 제어 기능에서 중복부분을 제거하면 패킷의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다. 이런 낭비 요소를 제거해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안되었다. ② 동일한 속도의 전송 매체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이다. ③ 프레임 릴레이 방식은 비연결형(→연결형) 패킷 서비스를 지원한다. ④ 오류 복구나 흐름 제어 같은 기능은 수행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을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다. ⑤ 패킷 교환 방식이 종단 사용자에게 지원하는 전송률(64Kbps)보다 낮은 전송률(→높은 전송률[2Mkps])을 지원한다. 답 : ①, ②, ④
- LAN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. ① LAN은 WAN 환경보다 호스트 간의 간격이 가깝기 때문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다. ② 버스형 구조에서는 전송 데이터가 모든 호스트에서 전송되므로 라우팅 기능이 필요없다.(→필요하다.)③ 버스형 구조에서 둘 이상의 호스트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려고 하면 공유 버스에서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. ④ 링형 구조에서는 특정 호스트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반드시 링을 한 바퀴 돌아 송신 호스트로 되돌아온다. ⑤ 링형 구조에서는 토큰이라는 제어 프레임을 사용해 충돌이 발생한 이후의 오류 복구를 진행한다.(→충돌을 사전차단한다.) 답 : ①, ③, ④
- 인터네트워킹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. ① 두 개의 LAN을 연결하려면 중간에 있는 네트워크 장비가 데이터를 중개해야 한다. ② 리피터는 한쪽 단에서 들어온 비트 신호를 증폭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계층 1, 2의(→계층 1의) 기능을 한다. ③ 브리지는 한쪽 단에서 들어온 프레임의 MAC 계층 헤더를 다른 단의 MAC 계층 헤더로 변형해 전송할 수 있다. ④ 라우터는 여러 포트를 사용해 다수의 LAN을 연결하는 구조를 지원한다. ⑤ 라우터는 수신한 패킷을 해석해 적절한 경로로 전송하도록 경로를 배정하는 기능을 한다. 답 : ①, ③, ④, ⑤
- 트랜스페런트 브리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. ① 트랜스페런트 브리지가 제대로 동작하려면 무엇보다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가 정확해야 한다. ② 초기에는 라우팅 테이블이 비어 있기 때문에 역방향 학습 알고리즘(→플러딩 알고리즘)을 통해 데이터 전송 방향을 결정한다. ③ 네트워크의 동작 과정에서 라우팅 정보를 얻는 방식을 역방향 학습 알고리즘이라 한다. ④ 네트워크가 순환 구조가 되면 역방향 학습 알고리즘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데,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이 사용된다. ⑤ 네트워크의 순환 구조를 없애려면 이중 경로가 존재하도록(→존재하지 않도록) 네트워크를 설계해야 한다. 답 : ②, ⑤
- 인터넷 라우팅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. ① 인터넷의 전체 구성과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는데, 대표적인 라우팅 방식은 고정 경로 배정과 적응 경로 배정이다. ② 고정 경로 배정은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 고정된 경로를 배정한다. 따라서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된 경우에만 라우팅 테이블 정보가 변경된다. ③ 네트워크나 라우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나 특정 위치에서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에 고정 경로 배정(→적응 경로 배정) 방식에서는 라우팅 테이블의 변경을 허용한다. ④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이 복잡해지면 이를 처리하는 라우터의 부담이 증가하는데, 인터넷과 같은 복잡한 망에서는 부담스러운 작업이다. ⑤ 인터넷에서 라우터의 역할은 수신된 IP 데이터그램을 적절한 경로로 전달하는 것이다. 답 : ①, ②, ④, ⑤
- QoS 매개변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. ① 연결 설정 지연시간은 연결 설정을 위한 request 프리미티브 발생과 confirm 프리미티브 도착사이의 경과시간이다. 일반적으로 경과시간이 길수록(→짧을수록) 좋다. ② 전송률은 임의의 시간 구간에서 초당 전송할 수 있는 바이트 수이다. ③ 전송 지연은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수신 호스트에 도착할 때까지 경과한 시간이다. ④ 전송 오류율은 임의의 시간 구간에서 전송된 총 데이터 수와 오류 발생 데이터 수의 비율이다. ⑤ 우선순위는 다른 연결보다 먼저 처리함을 의미한다. 형평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연결이 우선순위가 낮은 연결보다 나쁜(→좋은)좋은 서비스를 제공받는다. 답 : ①, ⑤
'컴퓨터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09 TCP 프로토콜 / 연습문제 9장 (내가 직접 푼..) (1) | 2022.12.11 |
---|---|
ch08 네트워크 계층 / 연습문제 8장 (내가 직접 푼..) (1) | 2022.12.11 |
ch07 IP 프로토콜 / 연습문제 7장 (내가 직접 푼..) (0) | 2022.12.10 |
ch02 네트워크 모델 / 연습문제 2장 (내가 직접 푼..) (1) | 2022.10.19 |
ch01 네트워크 기초 용어와 기능 / 연습문제 1장 (내가 직접 푼..) (0) | 2022.10.18 |